아시아나항공은 C-LEVEL 임원인 CSO(안전보건총괄 부사장) 책임하에 시설환경팀 중심으로 전담 조직을 구축하여 환경경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시설환경팀은 경영관리 본부 내 ESG경영팀과 함께 환경관련 중요 이슈에 대해 ESG 위원회 안건을 상정, 환경경영의 정책 방향을 논의하며 각 본부별 환경 담당 주관팀과 유기적으로 소통하여 사업장 환경 관리 업무, 환경경영 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환경총괄조직
시설환경팀각 본부별 담당 부서
구분 | 역할 |
---|---|
총괄 (시설환경팀) |
- 환경 주관부서(시설환경팀) - 환경/화학물질 관리 및 환경심사 - 환경경영시스템 운영 관리(ISO14001) * 환경영향 및 성과 분석, 계획, 운영, 경영자 보고 |
전사적 연료관리 위원회 | - 운항 효율 향상을 통한 항공유 사용 절감 방안 모색 |
본부배출현장 |
- 환경오염물질 배출팀으로서 환경경영 이행 * 회사 환경목표와 연계한 팀 세부목표 수립/이행 |
ESG경영팀 | - 전사 ESG 정책 수립 관리, ESG위원회 운영 |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은 내부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과 시스템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외부 인증기관 평가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7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국내 항공업종 최우수 기업 9년 연속) 내용 더 보기
2001년 서비스업계 최초 김포사업장 환경친화기업 지정 내용 더 보기
1995년 영국 환경경영규격 BS7750 세계 최초 항공운송 전부문 인증서 수여 내용 더 보기
사업장 내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원별로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적의 방지시설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정기적으로 시행하여 이의 결과를 주관부서 및 현장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사용 고효율화는 대기오염 감소와 직결되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 최소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회사의 건물 및 시설의 에너지 공급 설비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인천공항에 있는 제 2격납고 창고동 옥상지붕에 50㎾ 규모의 ‘친환경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여 가동중에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 설비를 통한 자체 발전은 연간 약 29tCO2eq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연도 | 전기발전량(KWh) | 에너지 감축량(TJ) |
---|---|---|
2022 | 69,343 | 0.67 |
2023 | 63,350 | 0.61 |
2024 | 67,602 | 0.65 |
수질오염물질 처리시설의 운영상황 및 필요사항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처리시설의 원활한 운영 여부 확인 및 수질 측정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시점검 및 Crosscheck를 통하여 전반적인 상태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고농도 폐수는 자체처리 오염부하가 높기 대문에 전량 위탁 처리하여 법적 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폐기물은 성상벌로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자원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구축하여 모든 폐기물이 최초 발생지에서 최종 처리에 이르기까지 적법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발생한 폐기물에 대하여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현재 전체 폐기물 중 약 70%가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공기 이륙 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권고 기준을 적용하는 등, 운용 중인 항공기는 ICAO 소음기준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와 AAPA(Association of Asia Pacific Airlines)가 제안하여 서울지방항공청과 공동으로 소음 및 사용을 줄일 수 있는 CDA(Continuous Descent Approach) 착륙 절차를 아시아 지역 최초로 적용한 바 있습니다.
자원순환을 위한 노력 – 아시아나항공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4 내용 더 보기
푸른 하늘을 위한 기후행동 챌린지 – 나의 항공 탄소발자국 줄이기 내용 더 보기
자원순환을 위한 노력 – 아시아나항공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3 내용 더 보기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 - 반려해변 정화활동 내용 더 보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 – 매화마름 군락지 바이오차 지원 내용 더 보기
자원순환을 위한 노력 – 아시아나항공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2 내용 더 보기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 – 멸종위기 생물 및 서식지 보호 내용 더 보기
일회용품 줄이기 – 임직원 리유저블 OZ컵 내용 더 보기
자원순환을 위한 노력 – 아시아나항공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1 내용 더 보기
아시아나항공은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2050년까지 순 탄소배출량 제로라는 장기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IATA의 탄소중립 목표를 지지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륙전부터 이륙, 운항, 착륙, 정비, 관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연료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륙전
탑재량 차이 최소화, 합리적 추가연료 탑재, 후방무게중심운영, 비행 전 점검
이륙
Less Drag Takeoff, 감소추력 이륙
운항
경제고도 및 경제속도 운항
착륙
연속강하접근(CDA), 근거리 교체공항 운영, Reduced Flap Landing, One Engine Taxi in
정비
엔진세척, 저항요소 제거, 보조전원장치(APU) 사용시간 최소화
관제
항로 단축, 최적경제 항로
아시아나항공은 차세대 친환경·고효율 항공기인 A350(A350-900)과 A321NEO(A321-251)를 주력기종으로 하여 기단 세대교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운항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하여 아시아나항공은 향후에도 ‘지속가능한 비행’을 우선가치로 삼아 친환경·고효율 항공기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50년 항공업계의 탄소중립(Net Zero)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SAF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은 탄소중립 계획 달성을 위해 해외 및 국내 공항에서 SAF 를 도입,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2년 6월 부 파리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에 대해 SAF 를 사용해 왔으며, 2025년 1월 부 EU 회원국 및 영국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에 대해 SAF 를 사용 중입니다. 또한 아시아나항공은 대한민국 정부의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연료 얼라이언스에 참여하여 항공업계의 SAF 기반 구축에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아시아나항공은 2024년 9월부터 인천-하네다 구간에 SAF 를 주1회 자발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SAF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글로벌 에너지 기업 Shell社 및 PTTOR社 와 SAF 구매 협력 양해각서 및 사용 의향서를 체결하였습니다. Shell社로부터 2026년부터 5년간 아시아 지역에서 SAF를 우선적으로 공급받고, PTTOR社로부터는 2027년부터 4년간 방콕을 비롯한 태국 내 공항에서 SAF 사용 촉진 및 상호 협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아시아나항공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다양한 SAF 도입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탄소상쇄아시아나항공은 사내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시스템인 AGIS(Asiana Airlines Greenhouse gases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하여 항공기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년 감축 목표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배출량 실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집약도연도 | 배출량(천tCO2eq) |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tCO2eq/백만원) |
---|---|---|
2022 | 3,965 | 0.70 |
2023 | 5,355 | 0.82 |
2024 | 6,162 | 0.74 |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 온실가스 배출량 ÷ 매출액(백만원)
환경성적표지 제도는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생산, 수송·유통, 사용, 폐기 등 전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계량적으로 표시하는 제도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인천-LA 노선, 김포-제주 노선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취득하여 소비자들의 항공기 이용에 따른 환경영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기후변화센터가 운영하는 자발적 탄소 시장 플랫폼 아오라(AORA, Alliance for our Responsible Action)의 탄소상쇄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고객들에게 기후대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개발도상국의 기후보호 프로젝트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탄소감축 활동에도 기여합니다. 고객님의 지속가능한 항공 여정에 아시아나항공이 함께 하겠습니다.
“Greening Our Way: Join the Climate Responsible Movement”
아오라(Alliance for Our Responsible Aciton)는 '책임감 있는 행동으로 지금(스페인어 'ahora'에서 영감) 기후위기 대응에 함께 해주세요' 라는 메시지를 가지고,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가 2022년 4월 국내 NGO 최초로 런칭한 '자발적 탄소시장 플랫폼' 입니다. 극단적인 기후변화 현상을 자주 마주하고 있는 지금, 기후대응 활동은 정부의 규제 영역 뿐만 아니라 기업, 시민 등 다양한 참여자의 자발적 참여를 필요로 합니다.
이에, 아오라는 항공 이용에 따른 탄소 배출 상쇄 등 생활속에서 기후대응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기후 위기에 취약한 여러 개발도상국에 공여하여 궁극적으로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아오라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의 활발한 기후위기 대응 활동 참여를 기대합니다.
나의 탄소 발자국 줄이기